# nestJS로 백엔드 api 만들기 (컨트롤러, 서비스, 엔티티)

저희는 주소록을 만들 예정입니다 이 주소록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소록 전체를 가져오는 기능
2. 주소록 id를 가지고 하나의 주소를 가져오는 기능
3. 주소를 만드는 기능
4. 주소를 지우는 기능
5. 주소를 바꾸는 기능

이렇게 총 5개의 api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 프로젝트 구조

프로젝트 구조
/src
ㅣㅡ /user.controller.ts
ㅣㅡ /user.module.ts
ㅣㅡ /user.entities.ts
ㅣㅡ /user.service.ts
ㅣㅡ app.module.ts
ㅣㅡ main.ts

구조는 위와 같습니다

controller는 nest g co를 이용하여 만드시면 되고, sevices는 nest g s를 이용하면 nest에서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 user.module.ts

컨트롤러와 서비스를 감싸줄 모듈을 정의합니다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UserController } from "./user.controller";
import { UserService } from "./user.service";

@Module({
  // controller와 service가 모듈에 정의되어야 컨트롤러 안에서 서비스 이용가능합니다 (DI)
  controllers: [UserController],
  providers: [UserService]
})
export class UserModule {}

# app.module.ts

app.module에 우리가 위에서 만든 user 모듈을 import 해줍니다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UserModule } from "./user/user.module";

@Module({
  imports: [UserModule],
  controllers: [],
  providers: []
})
export class AppModule {}

# user.entities.ts

express에서 스키마 정의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export class User {
  id: number;
  name: string;
  age: number;
  address: string;
}

# user.service.ts

컨트롤러에 들어가는 service 입니다

nest의 NotFoundException를 이용하면 손쉽게 에러핸들링이 가능합니다

import { Injectable, NotFoundException } from "@nestjs/common";
import { User } from "./entities/user.entities";

@Injectable()
export class UserService {
  private users: User[] = [];

  getAll(): User[] {
    return this.users;
  }

  getOne(id: number): User {
    const user = this.users.find(user => user.id === Number(id));
    if (!user) {
      // 클라이언트는 error.message에 user id ${id} not found이 값이 들어갑니다. status-code는 nest가 정해준 값으로 들어갑니다
      throw new NotFoundException(`user id ${id} not found`);
    }
    return user;
  }

  deleteOne(id: number): boolean {
    this.getOne(id);
    this.users = this.users.filter(user => user.id !== Number(id));
    return true;
  }

  create(userData: any) {
    this.users.push({
      id: this.users.length + 1,
      ...userData
    });
  }

  update(id: number, updateData: any) {
    const user = this.getOne(id);
    this.deleteOne(id);
    this.users.push({ ...user, ...updateData });
  }
}

# user.controller.ts

express에서는 import service from './user.service.ts'로 가져오겠지만

nest에서는 위와 같이 가져오지 않고, constructor를 사용하여 UserService 클래스를 가져와 사용합니다

any로 정의한 부분은 뒷 포스팅에서 dto에 대해 알아본 후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
  Body,
  Controller,
  Delete,
  Get,
  Param,
  Patch,
  Post,
  Query
} from "@nestjs/common";
import { User } from "./entities/user.entities";
import { UserService } from "./user.service";

@Controller("user")
export class UserController {
  // `constructor`를 사용하여 `UserService` 클래스를 가져와 사용합니다
  // 필수! controller에 service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user.module.ts에 controller와 service가 정의되어야 합니다
  constructor(private readonly userService: UserService) {}

  @Get()
  getAll(): User[] {
    return this.userService.getAll();
  }

  @Get("/:id")
  getOne(@Param("id") userId: number): User {
    return this.userService.getOne(userId);
  }

  @Post()
  create(@Body() userData: any) {
    // any 부분은 dto를 정의하면서 채웁니다
    return this.userService.create(userData);
  }

  @Delete("/:id")
  remove(@Param("id") userId: number) {
    return this.userService.deleteOne(userId);
  }

  @Patch("/:id")
  patch(@Param("id") userId: number, @Body() updateData: any) {
    // any 부분은 dto를 정의하면서 채웁니다
    return this.userService.update(userId, updateData);
  }
}

# 정리

이번 글에서는 컨트롤러와 서비스, 모듈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컨트롤러내에서 서비스를 사용할때 단순 import가 아닌 constructor를 사용해서 가져온다는 점과

컨트롤러에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듈내에 컨트롤러, 서비스가 정의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nest에서 validation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est
노경환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깃헙 스타 부탁드립니다 😊😄
최근변경일: 9/23/2024, 2:14:43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