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velte

스벨트 기본 동작 원리에 대해 기록합니다!

# svelte가 react, vue와 뭐가 다른가?

  • react와 vue는 가상돔을 사용하여 값이 갱신되면 현재와 가상돔을 비교하고 바뀐 부분만 갱신합니다 그에 반해 svelte는 가상돔이 없습니다 가상돔을 만드는 작업도 없고 가상 돔을 비교하는 작업이 생략되고 오직 갱신하는 작업만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react, vue보다 빠릅니다
  • svelte는 실제 돔을 사용하며 반응성을 직접 주입하여 바뀐 부분만 캐치하여 돔을 리렌더링 합니다
  • svelte는 dependencies 없이 devDependencies로만 구성되어 번들의 크기가 작습니다 즉, 배포할때 시간이 적게 걸립니다
  • svelte는 react, vue와 같은 기능을 가진 코드를 적으면 월등히 적은 코드량을 가집니다
  • 그러나 나온지 몇년 안됬기에 문법이 격변하고, 레퍼런스가 적어 구글링하기가 힘듭니다

# svelte가 값을 갱신하는 방법

  • 반응성을 가진 값이 새로운 값으로 할당되면 리렌더링됩니다
  • 아래 예시처럼 assign 함수에 의해 name이 test로 바뀌면 name을 가지고 있는 돔은 리렌더링 됩니다
<script>
  let name = "world";
  function assign() {
    name = "test";
  }

</script>

<h1 class={age < 85 ? 'active' : ''}>{name}</h1>
<button on:click={assign}>assign</button>
<img src="" alt={world} />
<input type="text" bind:value={name} />

<style>
  h1 {
    color: red;
  }
  .active {
    color: blue;
  }
</style>
  • 양방향 바인딩하여 input에서 값 적음으로 무조건 바뀌게 하려면 bind:value 기입
  • 자식 컴포넌트에 props로 내릴때도 양방향 바인딩bind:value를 사용하여 값을 바꿀수 있다
<input type="text" bind:value={name} />
<Todo bind:todos={todos} />

# 조건문, 반복문

  • 조건문과 반복문의 시작은 # 중간은 : 끝은 /를 붙입니다
<script>
	let name = 'world';
	let toggle = false;
	let frute = ['apple', 'banana', 'orange'];
	const deleteF = () => {
		// 반응성을 위해 재할당
		frute = frute.slice(1)
	}
</script>

<button on:click={() => toggle = !toggle}>
toggle
</button>

// each를 돌때 key를 넣어준다 as item 뒤에 소괄호 붙임
// {#each frute as item (key값)}

<ul>
	{#each frute as item (item)}
	  <li>{item}</li>
	{/each}
</ul>
<button on:click={deleteF}>eat</button>

{#if toggle}

  <h1>Hello {name}!</h1>
{:else}
  <div>
	  no name!
  </div>
{/if}

# 부모 자식 컴포넌트 값 교환

  • 다른 프레임워크와 같이 부모는 자식 컴포넌트에 동일한 방식으로 props를 내립니다.
  • 자식은 부모로 부터 props를 받을 때 export let propsName으로 props를 받습니다.
  • 자식 컴포넌트가 부모로 부터 받은 값을 바꾸려고 한다면 부모는 자식에게 양방향 바인딩을 사용하여 props을 내리면 부모의 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Todo bind:todos={todos} />

# 부모

<script>
	import Fruits from './Fruits.svelte';
	let name = 'world';
	const fruits = [1,2,3]
</script>

<h1>Hello {name}!</h1>

<Fruits {fruits}/>

<Fruits {fruits} reverse={true}/>

# 자식

<script>
	// props 받을때 export를 쓴다
	export let fruits
	export let reverse

	let computedFru = []

	if (reverse) {
		computedFru = [...fruits].reverse()
	} else {
		computedFru = fruits
	}
</script>

<ul>
	{#each computedFru as fri}
		<li>{fri}</li>
	{/each}
</ul>

# lefecycle

  • beforeUpdate
  • onMount
  • afterUpdate
  • onDestory

# 값 갱신시

beforeUpdate -> afterUpdate (onMount 실행안됨)

<script>
	import {onMount, onDestory, beforeUpdate, afterUpdate} from 'svelte'

	let h1

	beforeUpdate(() => {
		// 반응성있는 값이 바뀔때 실행됨 (화면 렌더링 전 -> onMount보다 먼저 실행됨)
		// 컴포넌트가 연결될때도 실행됨
		// 반응성을 가지는 데이터가 beforeUpdate, afterUpdate 훅 내부에 있으면 무한루프 (useEffect에서 setState 사용하는 것과 같은 맥락), 꼭 넣어야한다면 조건문을 넣어서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console.log('before update');
		console.log('h1 && h1.innerText');
	})
	afterUpdate(() => {
		// 반응성있는 값이 바뀔때 실행됨 (화면 렌더링 후 -> onMount 후에 실행됨)
		// 컴포넌트가 연결될때도 실행됨
		console.log('after update');
	})
	onMount(() => {
		// 컴포넌트 html 렌더링 된 이후에 실행됨
		// 컴포넌트가 화면에 출력된 이후 사용하는 훅
		h1 = document.querySelector('h1');
		console.log("mounted", h1.innerText)

		// 반환함수를 넣으면 onDestory와 같은 기능 (onDestory가 먼저 실행되고 반환함수 실행됨)
		// onDestory와 return 함수 둘중 하나만 만들어라
		// 주의사항! onMount에서 비동기 함수 로직을 넣을 경우 async 함수의 리턴은 promise이므로 return 익명함수가 무시된다. 그래서 비동기 함수가 있는 경우에는 return 익명함수로 onDestory를 사용하지 말고 onDestory 훅을 이용해라
		return () => {
			console.log('destory')
		}
	})

	onDestory(() => {
		// 컴포넌트가 연결해지되기 직전에 실행됨, 해지 직전이니 h1이 출력됨
		const h1 = document.querySelector('h1');
		console.log("destory", h1.innerText)
	})
</script>
<h1>something<h1/>

# lifeCycle 모듈화

# lifecycle.js

<script>
import {onMount, onDestroy, beforeUpdate, afterUpdate} from 'svelte';
import {writable} from 'svelte/store';

export function lifecycle(){
	onMount(() => {
		console.log('Mounted');

	})

	onDestroy(() => {
		console.log('onDestroy');

	})

	beforeUpdate(() => {
		console.log('beforeUpdate');

	})

	afterUpdate(() => {
		console.log('afterUpdate');

	})
}

export function delayRender(delay) {
	let render = writable(false);
	onMount(() => {
		setTimeout(() => {
			console.log(3);
			// 일반 변수가 반응성을 가지려면 util 함수가 아닌 컴포넌트내부에 정의되어야한다
			// render = true로 값을 바꾸고 app.svelte에 render가 true인 값으로 바꿔도 true로 바뀐것을 컴포넌트에서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미

			// store 값인 $xxx도 util 함수가 아닌 컴포넌트 내부에서만 사용가능하다, set, update, subscribe 함수 사용가능
			// 컴포넌트 내부에서 $는 자동 subscribe 기능이고  store.subscribe는 자동 구독이 안되는 곳에서 구현하는 수동 구독 (중요!! 스벨트 파일이 아닌곳에서 값을 운반할때 store 값을 자주 사용한다)
			render.set(true)
		}, delay)
	})

	// render 스토어 객체를 delayRender의 반환값으로 리턴하면 component에서는 스토어 객체를 받기에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return render;
}
</script>

# app.svelte

<script>
import {lifecycle, delayRender} from './lifecycle.js'
	let done = delayRender(3000);
	lifecycle();
	let name = 'world';
</script>

{#if \$done}

<h1>Hello {name}!</h1>
{/if}

# tick

  • 데이터가 갱신되고 화면에 값이 반영되기 까지 잠깐 기다려주는 라이플사이클 훅
  • 스벨트에서 값이 바뀌는 원리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스벨트는 값에 할당이 되면 해당 함수가 끝날때 까지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 그래서 하나의 함수에서 특정 값이 바뀌고 바뀐 특정 값을 잡으려면 tick을 사용해야한다
  • 훅이지만 다른 훅과는 다르게 어느 곳에서나 사용 가능
<script>
	import {tick} from 'svelte';
	let name = 'world';

	async function handler(){
		name='ddd';
		// 4. tick을 사용, tick은 비동기로 사용함, tick을 사용하면 name에 ddd가 할당되고 dom에 ddd가 갱신된 이후 h1.innerText가 실행됨
		await tick() ;
		// 1. 바로 화면이 갱신 되지 않고
		const h1 = document.querySelector('h1');
		console.log(h1.innerText);
	}
	// 2. 여기 까지 완료되어야 화면이 갱신됨 즉, Hello world가 콘솔에 출력됨
	// 3. Hello ddd가 나오기 위해서는 tick를 사용함
</script>

<h1 on:click={handler}>Hello {name}!</h1>

# 보간법

<script>
	let value = 'test'
	let isUpperCase = false
</script>

<input {value} on:input={e => value = e.target.value} />

// bind의 경우 속성의 이름 생략하려면 {}도 지운다
<input bind:value />

// react, vue와 달리 svelte는 컴파일러여서 전체 코드를 번들하기 전에 평가하기 때문에 최적과 가능하기에 코드 줄임으로 권장
// 함수나 표현식 사용을 권장하지 않음

<div>{isUpperCase ? 'DIV' : 'div'}</div>

# 원시 html

  • react의 dangerouslysetinnerhtml와 같은 기능으로 svelte에서는 @html을 사용함
<script>
	let h1 = '<h1>tt</h1>'
	let isUpperCase = false
</script>

{@html h1}

# 디버깅 (로그찍기)

  • 스벨트에서는 로그를 찍어주는 기능이 있어서 스크립트에 console.log을 적을 필요가 없다
  • 로깅 하고 싶은 값이 변할 경우 콘솔에 계속 찍힌다
  • 콘솔창을 열어 놓은 경우에는 값이 바뀔때마다 디버깅 툴이 열려서 지연됨
  • 실행이 완료된 이후 콘솔창을 열면 콘솔만 찍혀있음
<script>
	let index = 0;
	let name = 'tt';
</script>

{@debug index, name}

<h1 on:click={() => index +=1 }> hello {name}</h1>

# 스벨트에서 값 바뀌는 반응성 규칙

  • 가장 중요!!!! 스벨트에서 반응성을 가지려면 할당(=)을 해야한다
<script>
	let name = 'world';
	let fr = ['apple', 'banana'];
	let user = {
		name: 'nkh',
		depth: {
			a: 'b'
		},
		numbers: [1,2]
	}
	let numbers = user.numbers;

	function assign() {
		// string 재할당
		name = 'nep';
		// 배열 재할당
		fr = [...fr, 'orange'];

		// 객체 재할당
		user.name='nep';
		user.depth.a = 'c';
		// 스벨트의 경우 함수 하나가 다 종료된 이후 화면 값이 갱신된다.
		// 객체의 경우 객체 내부에 값이 하나라도 바뀌면 객체 전체를 갱신시키므로 아래와 같이 객체 내부의 배열에 push한 경우 원래대로라면 3이 반영되지 않아야 하나, 객체의 name, depth.a가 상단에서 바뀌었기 때문에 객체 전체가 갱신되고 그러므로 numbers에 3도 반영되어 갱신된다
		// 만약 user.numbers.push(3)만 user 객체에 변화를 줬다면 배열 재할당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값이 갱신되지 않는다
		user.numbers.push(3);
	}
</script>

<h1>Hello {name}!</h1>
<span>{fr}</span>
<p>{user.name}</p>
<p>{user.depth.a}</p>
<p>{user.numbers}</p>
// numbers는 user.numbers의 객체 값 주소를 공유한다 assign 함수를 실행하면 user.numbers 값이 바뀌고 그 주소를 참조하는 numbers도 값이 바뀌게 되지면 numbers는 할당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갱신 대상이 아니다. assign함수내부에 numbers=numbers를 기입하면 반응갱신 대상이 된다
<p>{numbers}</p>
<button on:click={assign}>assign</button>

# label로 반응성 구문($:) 이해

  • 실행순서
count 가 +1 됨
console.log(double)
함수 가 종료될때 까지 갱신 이뤄지지 않음
함수 종료후 데이터가 갱신되어 dom이 바뀌고
그 이후에 $: 구문 처리가 이루어짐

그래서 count가 더해진 이후 double도 더한 값이 반영되려려면 tick을 사용함 tick 사용함으로 순서는

count 가 +1 됨
await tick()실행함으로 갱신 까지 기다림
갱신 이후 $: 처리 이루어짐
console.log(double)
<script>
	import {tick} from 'svelte'
	let count = 0

	// js의 label 구문, svelte에서는 무조건 $로 표현함 vue의 computed와 비슷한 기능(count가 반응성을 가진다면 double도 반응성을 가짐)
	$: {
		double = count * 2
	}

	async function assign() {
		count += 1
		await tick()
		console.log(double) // 0,2,4,6,8 -> 2부터 찍히지 않는다
		// 왜? count가 1이 증가하면 함수로직이 다 처리하면 갱신이 처리되고 그 이후에 반응성 구문($:)이 실행된다, 그래서 tick으로 비동기를 만들어줘야한다
	}

	<button on:click={assign}>assign</button>
	<h2>{count}</h2>
	<h2>{double}</h2>
</script>

# 반응성 구문 패턴

<script>
  let count = 0;
  // 반응성 구문은 속한 컴포넌트가 실행되면 무조건 전체 다 실행된다 - 실행이 안되어야하면 조건문을 걸어줘야함

  // 선언
  $: double = count * 2;

  // 블록
  $: {
    console.log(count);
    console.log(double);
  }

  // 함수 실행 - count가 변경되면 log를 '실행'
  $: count, log();

  // 즉시실행함수 - count가 변경되면 익명함수 실행
  $: count,
    (() => {
      console.log("iife");
    })();

  // 조건문 - count or double가 변경되면 실행됨
  $: if (count > 0) {
    console.log("if", double);
  }

  // 조건문
  $: switch (count) {
    case 1:
      console.log(1);
      break;

    default:
      break;
  }

  // 반복문 - count가 변경되면 for문 실행
  $: for (let i = 0; i < 3; i += 1) {
    count;
    console.log(count, i);
  }

  function assign() {
    count += 1;
  }
</script>

# 클래스, 스타일 속성 바인딩

  • 인라인으로 속성 바인딩이 쉽다
<script>
let active = false;
let valid = false;
let color = {
	t: 'tomato',
	w: '#FFF'
}
let letterSpacing = 'letter-spacing: 5px;'
function multi() {
	return 'active multiple-class';
}
</script>

<!-- <div class={active ? 'active' : ''}> 와 같은 문법 -->
<div class:hello={active}>
	hello
</div>

// 여러 개의 지시어 사용 가능

<div class:hello={active} class:valid class:camel-case={camelCase}>
	hello
</div>

// 클래스에 함수 return 값 사용 가능

<div class={multi()}>함수실행</div>

<h2 style="background-color: {color.t}; color: {color.w}; {letterSpacing}">nkh</h2>

# 스타일 scrope, 전역화

  • 컴포넌트 내에 style 태그내에 작성하는 스타일은 컴포넌트 내에서만 유효범위를 가진다
  • 컴포넌트의 스타일은 해쉬화되기 때문에 다른 컴포넌트와 같은 클래스 이름을 사용해도 중복되지 않는다

# 글로벌 스타일

  • 글로벌 스타일은 해쉬화 되지 않는다
  • :global로 사용한다
<style>
	:global(.fruits) {
		color: red;
	}
</style>

# 주의사항

글로벌이 아닌 컴포넌트 내부에서 사용하는 스타일 중에 스크립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클래스 이름은 컴파일 후 번들 파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이뜻은 동적으로 class를 부여하여 스크립트에 당장 적혀있지는 않지만 쓰일 수 있는 스타일이 번들에 포함이 안된다는 뜻이다

이럴 경우 :global을 사용하여 번들에 해당 스타일이 포함되도록 해야한다

# @keyframes 전역화

  • -global-을 사용하면 keyframes을 전역화 할 수 있다
<style>
	@keyframes -global-zoom {
		0% {
			transform: scale(1);
		}
		100% {
			transform: scale(1.5);
		}
	}
</style>

# this

  • 일반 요소 바인딩
  • dom의 요소를 찾을 때 document.querySelector('input') 이렇게 찾는 경우가 많은데 스벨트에서는 this를 이용하여 쉽게 요소를 잡을 수 있다
<script>
import {tick} from 'svelte';

let isShow = false;
let inputEl;

async function toggle(){
	isShow = !isShow; // 반응성 갱신 주입
	await tick();
	// 정통적으로 아래와 같이 input을 잡는다
	// const inputEl = document.querySelector('input')
	inputEl && inputEl.focus();
}

<button on:click={toggle}>edit!</button>
{#if isShow}
	// 아래와 같이 bind:this를 이용하면 요소의 위치를 잡을 수 있다
	<input bind:this={inputEl} />
{/if}
</script>

# Properties, group

  • 입력 요소 바인딩
  • 라디오, 다중 선택 할때는 bind:group을 사용함

# 다중선택

<script>
let fru = ['apple', 'banana'];
let selectedFru = [];
</script>

{#each fru as fruit}
<label>
<input type="checkbox" value={fruit} bind:group={selectedFru} />
{fruit}
</label>
{/each}

# 라디오

<script>
// 라디오의 group데이터는 무조건 string
let group = '';

<label>
	<input type="radio" value="apple" bind:group={group} />
	apple
</label>
<label>
	<input type="radio" value="banana" bind:group={group} />
	banana
</label>

</script>

# 단일 다중 selectbox

<script>
// 단일은 string
let select = '';

// 다중은 array
let multiSelect = ['banana', 'cherry'];
</script>

<select bind:value={select}>
	<option disabled value="">option 1</option>
	<!-- option에 value 없으면 text가 value로 들어감 -->
	<option>option 2</option>
	<option>option 3</option>
</select>

<select multiple bind:value={multiSelect}>
	<option disabled value="">option 1</option>
	<option>banana</option>
	<option>cherry</option>
</select>

# each key

{#each 배열 as 속성, 순서 (키)} {/each}

# 빈 배열 처리

<script>
	let todos = [];
</script>

{#each todos as todo (todo.id)}

<div>todo.name</div>
{:else}
<div>아이템이 없어요</div>
{/each}

# each 구조분해

<script>
	let todos = [{id: 1, name: 'a'}, {id: 2, name: 'b'}];
</script>

{#each todos as {id, name} (id)}

<div>{name}</div>
{/each}

# 키블록

키로 할당된 값이 갱신되면 내부 컴포넌트는 초기화됨

# Count.svelte

<script>
	let count = 0;
	setInterval(() => {
		count++;
	}, 1000)
</script>

<h1>{count}</h1>

# App.svelte

  • reset 값이 갱신되면 내부에 있는 Count 컴포넌트는 초기화된다
<script>
	let reset = false;
</script>

{#key reset}

<!-- #key 아래 컴포넌트는 reset 값이 바뀌면 자동 초기화 -->
<Count /> 
{/key}
<button on:click={() => reset = !reset}> reset </button>

# 인라인 핸들러 사용 추천

  • vue, react에서는 jsx내부에 함수를 정의하면 리렌더링 될때마다 인라인 함수도 다시 정의되어야 하기에 메모리를 잡아먹어 사용하지 말라고 권장한다
  • 그러나 svelte는 인라인 핸들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 일단 스벨트는 가상돔이 없고, 자신이 컴파일러이기에 인라인 핸들러를 사용해서 메모리 사용에 불이익이 없다고한다
  • 두번째 이유는 인라인으로 사용시 할당(=)을 하지 않아도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아래 코드로 알아보자
<script>
	const fr = [
		{id: 1, name: '1'},
		{id: 2, name: '2'},
		{id: 3, name: '3'}
	]

	// 인라인으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자기자신을 할당해줘야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진다
	function assign(fr) {
		fr.name += '!';
		// 갱신을 위해서 자기 자신을 할당해준다
		fr = fr;
	}
</script>

{#each fr as fruit (fruit.id)}

<div on:click={() => assign(fruit)}>
{fruit.name}
</div>
{/each}

{#each fr as fruit (fruit.id)}

<!-- 인라인 핸들러를 사용할 경우 값 바꾸는 로직은 있으나 할당하는 로직이 없어도 갱신이 이루어진다 -->
<div on:click={() => fruit.name += '!'}>
{fruit.name}
</div>
{/each}

# 다중 이벤트 핸들러

  • svelte는 하나의 element에 여러 이벤트 핸들러를 붙일수있다
<button on:click={increse} on:click={() => console.log(1) on:click={test}>
click
</button>

# 이벤트 수식어

  • preventDefault 수식어
<a href="https://naver.com" target="\_blank" on:click|preventDefault={clickHandler}>naver
</a>
  • stopPropagation - 이벤트 버블링 방지
  • 동일한 방식으로 caputre 속성 사용 가능
<a href="https://naver.com" target="\_blank" on:click|preventDefault|stopPropagetion={clickHandler}>naver
</a>

# props 비구조할당

  • 아래 세 패턴 모드 같은 로직
{#each users as user}
<User
		name={user.name}
		age={user.age}
		email={user.email}
	/>
{/each}

{#each users as {name, age, email}}
<User {name} {age} {email} />
{/each}

{#each users as user}
<User {...user} />
{/each}

# 자식에서 부모로 dispatcher

  • 부모의 값을 바꾸기 위해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로 요청을 보낸다
<script>
	import {createEventDispatcher} from 'svelte'l
	export let todo;
	const dispatch = createEventDispatcher();

	const deleteTodo() {
		dispatch('deleteMe', {
			todoId: todo.id
		});
	}
</script>

<button on:click={deleteTodo}>x</button>

# 부모 컴포넌트

  • 자식 컴포넌트에서 dispatch로 정의한 이름(deleteMe)이 부모컴포넌트의 on:xxx에서 반응한다
<script>
const deleteTodo = (event) => {
	// 자식에서 만든 dispatch의 두번째 인자는 부모 함수의 event.detail에 들어감
	const { todoId } = event.detail;
	console.log(todoId);
}
</script>

<Todo {todo} on:deleteMe={deleteTodo}>

# dispatcher없이 쓰는 forwarding

  • js에서 쓰는 별도 이벤트 핸들러(on:click)면 dispatcher 없이 자식 -> 부모 함수 올림 가능 (forwarding 이라 부름)

# 자식

<!-- dispatcher없이 click만 사용하면 부모로 함수가 전달됨 -->
<button on:click>
 prarne
</button>

# 부모

<script>
	import Component2 from './Component2.svelte';
	const handler = (e) => {
		console.log(e.currentTarget);
	}
</script>
<!-- 자식으로부터 전달된 click 함수 발동 -->
<Component2 on:click={handler}/>

# context api

  • context의 공유 범위는 setContext를 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하위 컴포넌트만 공유가능하다 (형제 컴포넌트 및 부모 컴포넌트에서 getContext사용시 undefined 리턴)

# 부모 컴포넌트

<script>
  import { getContext, setContext } from "svelte";
  import GetCont from "./GetCont.svelte";
  setContext("pm", 10000);
	// setContext한 컴포넌트에서 getContext 사용 가능
  const pm = getContext("pm"); // 10000
</script>

<main>context tets {pm}</main>
<GetCont />

# 자식 컴포넌트

<script>
  import { getContext } from "svelte";
  const pm = getContext("pm"); // 10000
</script>

<h3>test {pm}</h3>

# context api module

# 자식

<script context="module">
  // module로 사용될때만 반돌함
  // app.svelte에서 이 컴포넌트를 가져와서 import 하는 순간에만 초기화됨
  // 이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모든 화면에 대해 전역 데이터로 사용됨
  // 주의!!! context="module"내의 값은 값은 바뀌나 화면을 바꾸는 갱신으로는 사용되지 않음
  export let count = 0;
</script>

<script>
  import { getContext } from "svelte";
  const pm = getContext("pm");
</script>

<h3>test {pm}</h3>

# 부모

<script>
  import { getContext, setContext } from "svelte";
  import GetCont, {count} from "./GetCont.svelte";
</script>

<button onclick={() => console.log(count)}>get count</button>

<GetCont />

# $$props / $$restProps

부모 컴포넌트를 통해 하위 컴포넌트로 여러 props를 내릴수있습니다 그럴때마다 하위 컴포넌트는 내려받은 props를 다 정의해야합니다 부모에서 내린 값을 가공 없이 자식이 다 쓴다면 굳이 props를 다 정의할 필요가 없어보입니다. 그래서 $$props$$restProps를 사용합니다

$$props$$restProps를 사용하면 부모에서 내린 prop에 대한 정의 없이 자식 컴포넌트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부모

  • 부모가 자식으로 value, type, maxLength, color를 내립니다
<script>
  import ExampleInput from "./ExampleInput.svelte";
  let inputValue = "";
</script>

<ExampleInput
  bind:value={inputValue}
  type="password"
  maxLength="3"
  color="red"
/>

# 자식

  • 자식은 부모에서 준 value, type, maxLength, color를 사용합니다
  • type, maxLength는 html에서 사용하는 속성으로 재가공 없이 다시 자식 컴포넌트에서 사용합니다 이럴때 $$props또는 $$restProps를 사용합니다
<script>
  export let value;
  export let color;
  // $$props; ->
  // $$restProps; -> Input내부에서 value, color는 사용되지 않으니까 별도의속성으로 전개됨
  // 속성과 중복될수있음 0> 분리해서 사용할라면 restProps

  // 컴포넌트를 통해 부모가 전해준 props을 받을 수 있는데, 모든 데이터를 props로 넣기 귀찮으니까 내장 객체를 넣는데 명시적으로 넣던가 암시적으로 넣던가
  // 명시적으로 props를 넣은 경우를 제외한 props를 암시적으로넣을
  // 내장객체이니까 별도의 선언 없이 사용가능
</script>

<input bind:value style="color: {color};" {...`$$props`} />

<input bind:value style="color: {color};" {...`$$restProps`} />

# $$props와 $$restProps의 차이

  • $$props는 부모에서 넘겨준 모든 prop이 $$props를 사용하는 dom의 property로 들어갑니다. 예를 들면 위의 예제의 경우 value, color, type, maxLength가 아래와 같이 들어갑니다
<input type="password" maxlength="3" color="red" style="color: red" />

color라는 input에서 사용하지 않는 property까지 들어갑니다 이는 버그를 만들수 있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restProps를 사용합니다

$$restProps는 컴포넌트에 명시적으로 정의한 property를 제외한 나머지를 dom의 property에 주입합니다

<!-- svelte에서 아래와 같이 value, color를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나머지를  restProps를 이용하여 주입하면 -->
<input bind:value style="color: {color};" {...`$$restProps`} />

<!-- 실제 html dom에는 아래와 같이 렌더됩니다 (restProps 사용한 경우) -->
<input type="password" maxlength="3" style="color: red" />

<!-- $$props를 사용한 경우 -->
<input type="password" maxlength="3" color="red" style="color: red" />

# slot

  • vue의 slot과 동일합니다 사용되는 컴포넌트의 children 속성이 import한 컴포넌트 내부에 들어가는 원리입니다

# 자식

<!-- SlotExample -->
<script>
  export let block;
</script>

<button class:block>
  <slot>
		<!-- 부모에서 슬롯 내부에 정의한 컨텐츠 없으면 아래 'default btn' 사용 -->
		default btn
	</slot>
</button>

<style>
  .block {
    display: block;
  }
</style>

# 부모

<script>
  import SlotExample from "./SlotExample.svelte";
</script>

<SlotExample />
<SlotExample block>test solt</SlotExample>

# 이름 가지는 slot

# 부모

<script>
  import SlotExample from "./SlotExample.svelte";
</script>

<SlotExample>
	<!-- 슬롯에 넣을때 style이 정의된 채로 넣어준다 -->
  <h2 slot="age">3123</h2>
  <div slot="name">
    <p>named</p>
    <p>slot!</p>
  </div>
</SlotExample>

<style>
  h2 {
    color: #ff3e00;
    text-transform: uppercase;
    font-size: 4em;
    font-weight: 100;
  }
</style>
  • 주의!! slot에 넣고 slot이 정의된 컴포넌트에서 style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slot 컴포넌트를 import한 부모 컴포넌트에서 스타일을 다 정의해주고 slot 내부에 dom을 넣어줘야한다

# 자식

<button class:block>
	<!-- name인 slot이 없다면 default btn이 render됨 -->
  <slot name="name">default btn</slot>
  <slot name="age">1</slot>
</button>

# $$slots

  • 슬롯을 사용하면 $$slot의 변수에 slot 내에 사용한 데이터가 담깁니다 (이름을 가진 slot만 담김)

# 범위를 가지는 slot (let 디렉티브)

  • let 디렉티브를 이용해서 slot에서 정의한 dat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식

<script>
  export let block;
  let domain = "@naver.com"; // 부모에서 domain를 부르면 @naver.com이 담긴다
  console.log($$slots); // {name: true, age: true, email: true}
</script>

<!-- 범위 슬록, $$slots -->
<button class:block>
  <slot name="name">default btn</slot>
  <hr />
  <slot name="age">1</slot>
  {#if $$slots.email}
    <hr />
    <slot name="email" {domain} alsoSlot="alsoSlot">zz{domain}</slot>
  {/if}
</button>

<style>
  .block {
    display: block;
  }
</style>

# 부모

<script>
  import SlotExample from "./SlotExample.svelte";
</script>

<SlotExample block>
  <h2 slot="age">29</h2>
  <div slot="name">
    <p>im</p>
  </div>
</SlotExample>

<SlotExample>
  <h2 slot="age">3123</h2>
  <div slot="name">
    <p>named</p>
    <p>slot!</p>
  </div>
	<!-- test@naver.com -->
  <div slot="email" let:domain let:alsoSlot>test{domain} / {alsoSlot}</div>
</SlotExample>

# store

store의 객체는 subscribe, update, set 이 있다

  • subscribe의 경우 store 값이 변경되면 subscribe 함수 실행된다
  • update의 경우 store의 값을 바꿀 때 호출하며, update 함수의 return 값으로 writable 값이 바뀐다
  • set은 호출한 store 객체를 원하는 값으로 바꿈

# store.js

import { writable } from "svelte/store";

// 1번인수: 정의할 값
// 2번인수: subscribe가 1명이상일때 최초 한번만 실행 (2,3,4 증가해도 다시 실행 안됨), return 문은 count의 모든 구독 취소시 실행
export let count = writable(0, () => {
  console.log("count subscribe가 1명 이상일 경우 실행됨");

  return () => {
    console.log("count subscribe가 0명이 되면 실행됨");
  };
});

# 수동 구독 방법

  • 아래 코드는 svelte의 store 객체를 subscribe, update, set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구독하는 방법입니다
  • 수동 구독의 경우 subscribe 한 값을 onDestory에서 모두 구독 취소해야합니다
  • store.js 같이 svelte 컴포넌트가 아닌 곳에서는 자동 구독이 불가하여 수동 구독으로 구현해야합니다
<script>
	import {onDestory} from 'svelte';
	import {count} from './store.js';

	let number;
	const unSubscribeCount = count.subscribe(e => {
		// store에 있는 count값이 변경되면 이 함수가 실행됨
		number = c;
	})

	const increse = () => {
		// update 함수에 return을 시키면 store 값이 return 값으로 할당된다
		count.update(c => {
			return c + 1;
		});
	}

	const resetCount = () => {
		// set은 store 값을 원하는 값으로 바로 바꿈
		count.set(0);
	}

	onDestory(() => {
		// count 구독을 취소한다
		unSubscribeCount();
	})
</script>

<h2>{number}</h2>

# 자동 구독으로 개선

  • 자동 구독의 경우 컴포넌트가 파괴시(onDestory 발동 조건) 자동으로 모든 store 값을 구독 취소
  • 거의 대부분의 경우 $store 객체로 사용합니다
  • svelte 컴포넌트 내에서는 자동 구독을 사용하나, store.js 같이 svelte 컴포넌트가 아닌 곳에서는 자동 구독이 불가하여 수동 구독으로 구현해야합니다
<script>
	import {count} from './store.js';

	const increse = () => {
		$count += 1;
	}

	const resetCount = () => {
		$count = 0;
	}

</script>

<h2>{$count}</h2>

# readable

  • store에 writable이 있듯 readable도 존재한다
  • 말 그대로 읽기 전용이며 컴포넌트에서 자동 구독을 해도 그 값을 바꿀 수 없다
  • 단, 생성한 store에서 처음 구독을 할때 한번 바꿀 수 있다
// store.js
import { readable } from "svelte/store";

const userData = {
  name: "nkh",
  age: 29,
  email: "noh5524@gmail.com",
  token: "d8d8w71nwncm133444"
};

export let user = readable(userData, set => {
  console.log("user 구독자가 1명 이상일때 찍히는 콘솔");
  // readable은 2번째 인수로 set이 들어온다.
  // 컴포넌트에서는 readable 값을 변경할 수 없으나 맨처음 구독이 시작되는 순간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값을 바꿀 수 있다.
  delete userData.token;
  set(userData);
  return () => {
    console.log("user 구독자가 0명일 때 찍히는 콘솔");
  };
});

# 사용하는 component

<script>
	import {user} from './store.js';

	console.log(user); // readable 값이기 때문에 set, update 메소드가 없다

	const setReadableData = () => {
		$user.age = 999 // error!!
	}
</script>

<span>{\$user.age}</span>

# 계산된 스토어 (derived)

  • vue의 computed와 같은 느낌
  • writable, readable 값 모두 핸들링 가능
  • 컴포넌트에서 $값으로 호출시 readable 값과 동일하게 describe 메소드만 사용 가능 (set, update 사용 불가)
  • 의존하고 있는 writable 값이 변경시 derived 값도 같이 갱신
// store.js
import { writable, derived } from "svelte/store";

export let count = writable(1);

// writable, readable 값 모두 핸들링 가능
export let double = derived(count, $count => {
  // $count는 count 즉, 1이다
  // count가 변경시 double도 같이 갱신되어 리렌더링됨
  return $count * 2;
});

// 여러 값 가져와야한다면 배열로 만들고 내부로 가져옴
export let total = derived([count, double], ([$count, $double], set) => {
  // derived는 writable과 달리 값이 바뀔때마다 계속 호출됨
  console.log("total 구독자가 1명 이상일때 호출"); // 2. 여기가 호출되어 total 값이 바뀜
  set($count + $double);
  // return $count + $double; 위와 동일

  return () => {
    console.log("total 구독자가 0명 일때"); // 1. writable과 다르게 의존하고 있는 값이 변경되면 맨처음 이 구문이 실행되어 한번 초기화 하고
  };
});

export let initalValue = derived(
  count,
  ($count, set) => {
    // 어떤 값을 가지고 computed하는데 일정한 시간이 걸릴때 이 값은 undefined를 return한다
    // 이때 undefined 값을 보정해주기 위해 dervied 함수의 3번째 인자로 대신할 값을 넣어준다
    setTimeout(() => {
      set($count + 1);
    }, 1000);
  },
  "최초 계산 로딩 중 ..."
);

# store getter

  • $~값을 이용하면 store 값을 컴포넌트가 구독해야하는데, 구독하지않고 단순 값만 조회하려고 할때 사용
  • writable, derived, readable 모두 사용 가능하고, 컴포넌트가 아닌 스토어 및 js 파일 모두에서 사용 가능
<script>
	import {get} from 'svelte/store';
	import {count} from './store';

	console.log(get(count)); // 1
</script>

# 스토어 사용 종합 예시

# store.js

import { writable, get } from "svelte/store";

const _fruits = writable([
  { id: 1, name: "apple" },
  { id: 2, name: "banana" }
]);

export let fruits = {
  ..._fruits,
  getList: () => get(_fruits).map(f => f.name),
  setItem: name => {
    _fruits.update($f => {
      $f.push({
        id: $f.length + 1,
        name
      });
      return $f;
    });
  }
};

# component

<script>
import { fruits } from './store.js';

let value
</script>
<input bind:value />
<button on:click={() => fruits.setItem(value)}>add fruits</button>
<button on:click={() => console.log(fruits.getList())}>get fruits</button>

<ul>
 {#each $fruits as {id, name} (id)}
	<li>{name}</li>
 {/each}
</ul>

# action

  • redux, vuex, mobx의 store action이 아닙니다
  • svelte에서 사용하는 action이라는 기능으로 use 리덱티브를 이용합니다
  • 해당 element에 접근하여 아래와 같은 기능을 만들때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타사 라이브러리와 인터페이스
lazy-loading image
tooltips
커스텀 이벤트 핸들러

# 액션 함수 형태

action = (node: HTMLElement, parm: any) => {
	update?: (param: any) => void;
	destroy?: () => void;
}

# 간단한 액션 예제

<script>
  let width = 200;

  const zoom = (node, options = {}) => {
    const { width = 300, height = 400, zoom = 1.2 } = options;

    node.style.transition = "1s";
    node.style.width = `${width}px`;
    node.style.height = `${height}px`;
    const zoomIn = () => {
      node.style.transform = `scale(${zoom})`;
    };

    const zoomOut = () => {
      node.style.transform = "scale(1)";
    };

    node.addEventListener("mouseenter", zoomIn);
    node.addEventListener("mouseleave", zoomOut);

    return {
      update(opts) {
        console.log(opts);
        node.style.width = `${opts.width}px`;
      },
      destory() {
        node.removeEventListener("mouseenter", zoomIn);
        node.removeEventListener("mouseleave", zoomOut);
      }
    };
  };
</script>

<button on:click={() => (width += 20)}>size up</button>

<div use:zoom />

<div
  use:zoom={{
    width,
    height: 100,
    zoom: 1.5
  }}
/>

<style>
  div {
    background-color: tomato;
  }
</style>

# 컴포넌트 재귀 호출 (self)

  • svelte에서는 자기자신 컴포넌트를 재귀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 App.svelte

<script>
	import Address from './Address.svelte';
	let address = {
		label: '대한민국',
		children: [
			{
				label: '경기',
				children: [{label: '수원'}, {label: '하남'}]
			},{label: '강원', children: [{label:'강릉'}, {label: '속초'}]}
		]
	}
</script>

<Address {address} />

# Address.svelte

<script>
	export let address;
</script>

<ul>
	<li>
		{address.label}
		{#if address.children}
			<!-- children이 있으면 self로 Address 컴포넌트 재귀 호출 -->
			{#each address.children as address}
				<!-- 		자기자신 (Address.svelte) 호출		 -->
				<svelte:self {address} />
			{/each}
		{/if}
		</li>
</ul>

# 동적 컴포넌트 랜더링

  • 작성중

# window

<script>
	let key = '';
	let innerWidth;
</script>
<!-- window 객체 안쓰고 이벤트 연결 -->

<svelte:window
on:keydown={e => key = e.key}
bind:innerWidth
bind:innerHeight
bind:outerWidth
bind:online
bind:scrollX
bind:scrollY
/>

# svelte head body

  • svelte에서는 head에 바로 접근 할 수 있다.
  • 상대경로로 head 내에 들어가는 파일들은 public 파일에 넣어줘야하다 (내부환경에 접근 불가) public/main.css
<svelte:head>

<link rel="stylesheet" href="./main.css">
</svelte:head>

<svelte:body on:mousemove={e => console.log(e.clientX, e.clientY)} />

# options (immutable)

props으로 객체를 줄경우

  • 컴포넌트에 가변성 데이터 (객체, 배열, 함수) 데이터를 넣으면 데이터가 항상 바뀔 것이라고 인지한다
  • 객체의 일부분만 바뀌어도 svelte는 객체의 전체가 바뀐 것으로 인지하여
  • 해당 객체를 참조하고 있는 모든 element를 리렌더링 한다 (afterUpdate가 element가 객체를 참조하고 있는 수만큼 재실행 된다)
  • 그래서 prop으로 객체가 아닌 원시값 (string, number)로 내려주거나 가변적인 값을 불변한다고 지정하는 svelte에 있는 options을 사용한다

# App.svelte

<script>
import Fruit from './Fruit.svelte';

let fruits = [{id: 1, name: 'apple'}, {id: 2, name: 'banana'}, {id: 3, name: 'orange'}]
</script>

<!-- prop으로 내려주는 객체에 새로운 객체 주입 -->

<button on:click={() => {
fruits[0] = {id: 1, name: 'apple'};
fruits = fruits
}}>
update!
</button>

{#each fruits as fruit (fruit.id)}
<Fruit {fruit} />
{/each}

# Fruit.svelte

<script>
	import {afterUpdate} from 'svelte';
	export let fruit;
	// immutable을 사용하면 fruit는 가변하는 값이 아닌 불변하는 값으로 인지
	// 불변하는 값으로 인지했는데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오게 되면 svelte는 기존 fruit === 새로운 fruit 비교 (참조하는 메모리 위치가 같으면 true)
	// apple은 참조 주소가 다르니 false임으로 갱신되고 banana, orange는 주소값이 바뀌지 않아 true이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let updateCount = 0;

	afterUpdate(() => {
		// svelte.options 가 없다면 진짜로 바뀌는 apple 말고도 banana, orange도 update된것으로 인지한다 (fruit 객체의 주소가 바뀌었기 때문에 전체가 변한 것이라고 인지하기 때문)
		updateCount += 1;
	})
</script>

<!--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막기위해 아래 코드 주입 -->

<svelte:options immutable />

<div>{fruit.name}({updateCount})</div>

# options (accessors)

  • 외부에서 특정 컴포넌트의 값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
  • accessors와 immutable 동시 사용 가능

# Inner.svelte

<script>
	let age = 29;
	export let name = 'nkh'
	export function getAge() {
		console.log(age);
	}
</script>

<svelte:options accessors />

<h1 on:click={getAge}>{name}</h1>

# App.svelte

<script>
	import Inner from './Inner.svelte';

	let innerComponent;

	function handler() {
		// 원래는 외부의 컴포넌트가 내부의 컴포넌트 값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그러나 내부의 컴포넌트에서 <svelte:options accessors />를 열어주면 내부 컴포넌트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대신 innerComponent 값에 export을 해줘야한다)
		console.log(innerComponent);
		console.log(innerComponent.name); // 'nkh'
		console.log(innerComponent.getAge()); // 29
	}
</script>

<button on:click={handler}>
	Toggle!
</button>
<!-- bind:this로 innerComponent 값이 InnerComponent 컴포넌트가 된다 -->
<InnerComponent bind:this={innerComponent}>
#svelte
노경환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깃헙 스타 부탁드립니다 😊😄
최근변경일: 1/14/2025, 2:03:24 AM